티스토리 뷰

처방전 유효기간 및 약 유통기한


안녕하세요, 보통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에 명시된 약은 병원 근처에 있는 약국에 가면 대부분 구비가 되어 있는데요. 만약 다른 곳에서 약을 처방 받으려 할 경우, 처방전에 있는 약이 없어 난감한 상황이 발생되곤 합니다. 대체조제가 가능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곳에서 약을 지어야 하는데 처방전 유효기간 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. 



처방전 유효기간 은 보통 3일인데요. 대형병원은 7일인 경우도 있습니다. 하지만 대부분 3일 이내라는 것을 알고 계셔야 겠네요. 만약 유효기간 마지막 날이 공휴일 이라면 처방전 유효기간 이 1일 연장되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다음은 약의 유통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
먼저 어린이용 액상 감기약의 경우 개봉 후 6개월이 지나면 버리는게 좋고 식염수도 개봉 후 15일이 지났다면 남아있어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. 연고제품의 경우 소량씩만 발라 쓰기 때문에 끝까지 다 쓰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요.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그 때부터 세균에 오염될 확률이 높으므로 개봉 후 6개월이 지났다면 안 쓰는게 좋다고 합니다.




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의 경우, 증상이 나아지면 남겨놓고 나중에 같은 증상이 생길 경우 그때 다시 드시려는 분들이 계신데요. 처방약은 처방 받은 기간 그 자체를 유효기간으로 보면 된다고 합니다. 그러니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도 일단 처방 받은 기간 만큼은 약을 다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



특히 일부 항생제는 유통기한이 지나면 독성이 생길 수 있다고 하니 빨리 섭취해야 겠습니다. 대체로 모든 약은 빨리빨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볼 수 있네요. 지금까지 처방전 유효기간 과 약의 유통기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. 처방전의 날짜가 지나 재발급을 해야하는 경우라도 병원에 따라 비용을 받지 않고 재발급을 해주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


댓글